매일의도전 – SK hynix Newsroom 'SK하이닉스 뉴스룸'은 SK하이닉스의 다양한 소식과 반도체 시장의 변화하는 트렌드를 전달합니다 Tue, 22 Jul 2025 05:40:36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6.7.1 https://skhynix-prd-data.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4/12/ico_favi-150x150.png 매일의도전 – SK hynix Newsroom 32 32 HBM4의 속도감을 담은 AI 뮤직비디오 /ai-in-your-area-9/ Tue, 22 Jul 2025 05:00:49 +0000 /?p=50777

미래를 향한 질주, SK하이닉스

EP.9HBM4의 속도감을 담은 AI 뮤직비디오
가장 생생한 AI 체험기
모든 일상에 AI가 스며드는 시대 –
SK하이닉스 뉴스룸이 생성형 AI를 직접 사용하고 AI의 가능성과 변화할 미래 모습을 탐구합니다.

Mission
AI로 뮤직비디오 제작하기
기술이 급변하는 시대, AI로 만들어내는 음악과 영상으로
HBM4의 가치를 생생하게 전하고자 ‘AI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

How To Make It
SK하이닉스의 미래를 향한 레이싱
HBM4의 초고속·초연결 기술력을 탑재한 카레이서가
시공간을 넘나들며 미래를 향해 끊임없이 달린다.

STEP.1
AI 음원 제작
레이싱 특유의 속도감과 역동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질주하는 에너지를 담은 사운드를 추출했다.
여기에는 ‘speed(속도)’,
‘intense(강렬한)’, ‘futuristic(미래적인)’ 등의 키워드를 활용했다.

A sleek, high-impact idol-style
track just over 2
minutes,
fast-
paced beats, metallic sounds,
and sharp
drops drive
racing
and combat energy …

세련되고 임팩트 강한 스타일의 트랙으로,
2분 조금 넘는 러닝타임을 가진 곡, 빠른
비트와 메탈릭한 사운드,
날카로운 드롭이
레이싱과 전투의 에너지를 이끌며 …

STEP.2
AI 이미지 제작
에너지 넘치는 리듬, 가사 속 핵심 키워드 ‘기술’, ‘속도’, ‘미래’를
바탕으로
HBM4 기술이 이끄는 초고속·초연결의 여정을 시각화했다.
이를 위해 SK하이닉스의 CI 컬러를 담은 카레이서와 트랙,
그리고
데이터를 형상화한 오렌지색과 보랏빛의 빛줄기를 비주얼 요소로 활용했다.
The person wears a
vibrant
orange
racing suit

with stitched
seams,
sponsor
patches, and
a
high collar …
그의 선명한 오렌지색의 레이싱 슈트는
정교한 스티치
마감과 스폰서 패치,
높게 올라간 칼라가 더해져
강렬한
인상을 주고 …

futuristic orange hover
racing
car with no
wheels,

levitating
just above a
sleek
illuminated
road
in a bright sci-fi city …
바퀴 없이 공중에 떠 있는 미래형 오렌지
색상의 호버
레이싱카가 눈부신 조명으로
가득한 SF 도시의 빛나는
도로 위를
질주하고 있고 …

A modern glass
skyscraper
seen
from the
side under

clear daylight.

Thin

streams of orange
and
purple light rise
smoothly
from the
bottom
맑은 대낮에 측면에서 본
현대적인
유리 고층 빌딩.
아래쪽에서부터
얇은
주황색과 보라색 빛줄기가

부드럽게
솟아오르고 …

STEP.3
역동성을 살린 AI 무빙 연출
레이싱카의 빠른 속도와 빛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카메라 키워드를 활용했다.
Motion Blur
움직임에 잔상을 더해,
속도감과 자연스러운
흐름을 표현

Long Exposure
움직임을 흐릿하게 담아
몽환적이고 드라마틱한
효과를 연출

Dynamic Camera Angle
카메라 각도를 변형해
몰입감과 역동성을 강화

Rapid zoom-in / Zoom-out
빠른 줌으로 집중 유도,
장면 전환의 강한
임팩트 연출

[Camera Prompt]
The camera tracks the
vehicle
from above
at a dynamic
diagonal
angle …
카메라는 위에서 비스듬하게,
역동적인 각도로 차량을 따라가며 …

[Camera Prompt]
The camera pans around
the
man in the orange
racing suit
with a clock
helmet …
카메라가 시계 헬멧을 쓴 오렌지색
카레이서
남성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촬영하고 …

STEP.4
영상 후반 작업
영상 후반 작업은 음악에 맞춰 시각적 몰입감을 강화하는 데 집중했다.
메모리 처리 속도를 잘 보여줄 수 있도록 편집해 영상에 리듬감을 더했다.

Epilogue
속도와 효율을 높이는 AI
이번 에피소드는 SK하이닉스 HBM4의 세계 최고 수준의 속도를
감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시도였다.
뮤직비디오 제작 과정에서 AI는 속도와 효율을 높여주는 핵심 도구이다.
원하는 장르에 맞게 키워드를 입력하면, 복잡하고 긴 편집 없이도 시각적으로
눈길을 끄는
AI 뮤직비디오를 완성할 수 있다.
AI 메모리는 초고속 데이터 처리 능력과 뛰어난 에너지 효율을
바탕으로 다양한 AI 콘텐츠가 빠르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해준다.
앞으로도 SK하이닉스는 이와 같은 초고속 AI 메모리 기술을 통해,
복잡한 AI 연산을
원활하게 하는 것은 물론
일상의 모든 기술과 혁신을 통해
사람들이 더욱 편리해지는 미래를 만들어갈 것이다.

연관 기사

]]>
AI로 만든 최초의 AI MEMORY SHOW /ai-in-your-area-8/ Mon, 16 Jun 2025 00:00:34 +0000 /?p=48613

AI MEMORY SHOW Chapter.1

*본 영상은 생성형 AI로 제작되었으며,
실제 제품과 크기 및 형태가 다를 수 있습니다.

Teaser

Full Video

AI MEMORY SHOW Chapter.1
“HBM3E, HBM4, CMM-DDR5… 등 SK하이닉스의 대표 메모리들이 최초로 런웨이를 걷다.”
EP. 8AI로 만든 최초의 AI MEMORY SHOW

가장 생생한 AI 체험기

모든 일상에 AI가 스며드는 시대 –
SK하이닉스 뉴스룸이 생성형 AI를 직접 사용하고
AI의 가능성과 변화할 미래 모습을 탐구합니다

*본 이미지 클릭 시 각 메모리 제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MM-DDR5
CXL* 기술을 적용한
DDR5 기반 메모리 모듈
*CXL: 초고속 연산을 지원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CMM-Ax
연산 기능을 탑재한
CXL 기반 메모리 설루션

AiMX
GDDR6-AiM을 여러 개 탑재해
LLM에 특화된 가속기 카드

SOCAMM
저전력 D램 기반의
AI 서버 특화 메모리 모듈

HBM3E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제품

HBM4
AI 메모리가 갖춰야 할
세계 최고 수준의 속도와
용량 구현. 초당 2TB 이상의 데이터 처리
HBM 12단 기준 최고 용량인 36GB 구현

DDR5 RDIMM(1cnm)
차세대 미세화 공정이 적용된 서버용 D램 모듈

ZUFS 4.0
온디바이스 AI용
차세대 모바일 낸드 설루션

LPCAMM2
AI PC용 고성능 메모리 모듈

PCB01
온디바이스 AI PC에 최적화된
고성능 SSD

Mission

AI로 패션쇼 제작하기

기술이 점점 복잡해질수록, 더 많은 사람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설명 이상의 경험’이 중요해진다.
이에 뉴스룸은 자사의 첨단 AI 메모리 기술을 감각적으로 풀어낸
‘AI MEMORY SHOW’를 기획했다.

How To Make It

AI 메모리가 런웨이를 걷는다

SK하이닉스의 AI 메모리가
전 세계 다양한 곳에 활용되는 것처럼,
세계 각지를 상징하는 AI 가상 모델들이
자신과 어울리는 제품과 함께 런웨이에 등장한다.

STEP. 1

AI 모델 제작
다양한 AI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인물의 특징을 반영한 프롬프트를 설계하고,
눈빛, 모공, 피부톤 등 세부적인 키워드를 활용해
실제 모델처럼 느껴지도록 이미지를 추출했다.

STEP. 2

인물, 배경, 제품을 통합한 AI 무빙
새로운 AI 툴을 활용해, 모델 이미지, 런웨이 배경, 메모리 제품을
각각 삽입한 후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방식으로 연출했으며,
이전과 달리 이 세 요소를 통합 제작하는 효율적인 무빙 연출이 가능해졌다.
AI 모델의 워킹 장면도
실제 모델의 움직임처럼 보이도록 프롬프트를 정교화했다.

Key Point One!
특히 AI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의 이미지를
영상으로 전환해주는 기능을 사용했다.
이 기능은 서로 다른 이미지들을 개별 요소로 설정하고,
하나의 프레임 안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도록 해준다.

DDR5 RDIMM(1cnm)

LPCAMM2

STEP. 3

다양한 AI 툴을 활용한 정교화
실사 모델 컨셉과 자연스러운 무빙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AI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무빙 영상을 생성한 뒤 다시 이미지로 추출하거나,
반대로 이미지에서 무빙을 재합성하는 등 반복작업을 진행했다.



Key Point Two!
STEP. 2에서 추출한 클로즈업 영상을
GPT 기반 이미지-to-프롬프트 기능으로 장면을 텍스트화했다.
이렇게 생성된 프롬프트를 활용하면,
기존의 정적인 영상 장면을 바탕으로 —예를 들어 제품을 멀리서 들고 런웨이를 걷는 듯한— 새로운 무빙 영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고정 장면을 다양한 시퀀스로 확장해,
복잡한 촬영이나 합성 없이도 다각도 연출이 가능해진 것이 핵심이다.

이미지를 바탕으로 추출할 수 있는 무빙에 최적화된 프롬프트입니다.
Prompt:
A white humanoid robot stands still in a bright futuristic hallway.
It holds a sleek,
square memory product labeled “SK hynix HBM4”
with both hands at chest level.
The robot subtly tilts the product forward to
emphasize the front label, then slowly
rotates the product 180 degrees
horizontally (left-to-right) to reveal the yellow
circuit-detailed back side. …

STEP. 4

AI 음원으로 패션쇼 현장 분위기 조성
AI MEMORY SHOW의 분위기를 완성하기 위해
다양한 프롬프트를 입력해 BGM을 추출했다.
패션쇼의 세련된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한
감각적인 음악 선택도 중요한 제작 과정 중 하나였다.

Epilogue

AI와 기술이 걷는 미래

이번 ‘AI MEMORY SHOW’는 단순한 영상 제작을 넘어,
AI 기술과 반도체 제품을 결합해 SK하이닉스의 브랜드 메시지를 새롭게 전달하려는 시도였다.
기존 패션쇼 방식에서 벗어나 모델, 배경, 제품, 음악 등
모든 요소를 AI로 설계하고 통합하며,
점점 정교해지는 AI 기술을 도구에 그치지 않고 창작 과정 전반에 감각적으로 접목시키는 방법을 실험했다.
SK하이닉스의 메모리는 고도화된 AI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고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핵심 기술로서,
창작에 필요한 기술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도 AI를 주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며,
누구나 기술을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시각 중심의 콘텐츠 실험을 계속 이어 나갈 예정이다.

연관 기사

]]>
AI로 매일 콘텐츠를 제작한다면? /ai-in-your-area-7/ Mon, 26 May 2025 06:00:56 +0000 /?p=47841

EP.7
AI로 매일 콘텐츠를 제작한다면

가장 생생한
AI 체험기

모든 일상에 AI가 스며드는 시대 –
SK하이닉스 뉴스룸이 생성형 AI를 직접 사용하고
AI의 가능성과 변화할 미래 모습을 탐구합니다





Mobile background

Mission

AI로 DAILY 콘텐츠 제작하기

AI 기술 발전과 함께 콘텐츠 제작 방식도 진화하고 있다.
SK하이닉스 또한 생성형 AI로 DAILY 콘텐츠를 제작하며
창작 방식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초기에는 단순한 이미지 제작에 그쳤으나
현재는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여 더욱 완성도 높은 DAILY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반도체 로봇이 달콤한 화이트데이를
즐기는 방법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기념일
#화이트데이 #인공지능로봇

가장 작은 곳에서 가장 위대한 변화가
시작된다.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나노기술 #테크의빛 #반도체 #반도체의힘

해양 경찰의 수상 구조 활동을 돕는 반도체 수트
*해양 경찰의 날을 맞아 SK하이닉스가
모든 해양 경찰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SK하이닉스 #DAILY #AI #해양경찰의날

메모리 스스로 연산을 수행하는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PIM’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지능형메모리 #GDDR6_AiM #PIM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주요 구성 요소
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속하고 메모리
대역폭과 용량을 효율적으로 확장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
‘CXL(Compute eXpress Link)’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메모리확장 #인터페이스기술 #차세대기술

미래의 문을 여는 빛, 변화를 이끄는
SK하이닉스의 Full Stack AI MEMORY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AI메모리의중심
#FULL_STACK_AI_MEMORY_PROVIDER

따뜻한 정이 가득한 설 연휴 보내시길
바랍니다. 🙇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2025년 #설날
#설연휴 #새해복많이받으세요

우리 집으로 찾아온 AI 크리스마스 로봇!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AI로봇

AI가 재현하는 세종대왕의 풍채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기념일
#한글날 #인공지능

차세대 노트북에 차용되는 메모리 모듈로
빠른 전송 속도와 공간 효율을 높인
LPCAMM2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LPCAMM2 #공간효율
#메모리모듈 #속도향상 #고성능

반도체 로봇이 달콤한 화이트데이를 즐기는 방법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기념일 #화이트데이 #인공지능로봇

가장 작은 곳에서 가장 위대한 변화가 시작된다.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나노기술 #테크의빛 #반도체 #반도체의힘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 ‘CXL’: 고성능 컴퓨팅의 데이터 전송 가속 및 메모리 효율화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메모리확장 #인터페이스기술 #차세대기술

미래의 문을 여는 빛, 변화를 이끄는 SK하이닉스의 Full Stack AI MEMORY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AI메모리의중심 #FULL_STACK_AI_MEMORY_PROVIDER

차세대 노트북에 차용되는 메모리 모듈로 빠른 전송 속도와 공간 효율을 높인 LPCAMM2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LPCAMM2 #공간효율 #메모리모듈 #속도향상 #고성능

해양 경찰의 수상 구조 활동을 돕는 반도체 수트*해양 경찰의 날을 맞아 SK하이닉스가 모든 해양 경찰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SK하이닉스 #DAILY #AI #해양경찰의날

우리 집으로 찾아온 AI 크리스마스 로봇!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AI로봇

따뜻한 정이 가득한 설 연휴 보내시길 바랍니다. 🙇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2025년 #설날 #설연휴 #새해복많이받으세요

메모리 스스로 연산을 수행하는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PIM’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지능형메모리 #GDDR6_AiM #PIM

AI가 재현하는 세종대왕의 풍채

#SK하이닉스 #DAILY #AI #AI메모리 #기념일 #한글날 #훈민정음 #인공지능

Instagram
YouTube

*SK하이닉스 공식 인스타그램 / 유튜브에서 DAILY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 클릭 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ow To Make It

단순한 이미지에서 몰입형 콘텐츠로

생성형 AI의 혁신은 DAILY 콘텐츠 제작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AI 자동화 덕분에 이미지, 영상 제작, 음원 추출 등 반복 작업 시간이 크게 줄어,
스토리텔링에 집중하며 DAILY 콘텐츠의 표현 범위를 확장해 나갈 수 있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DAILY 콘텐츠의 변화 과정 속의
기획 및 기술적 접근 방식을 소개한다.

STEP. 1

기존 AI 콘텐츠 분석

초기 DAILY 콘텐츠는 AI가 생성한 정적 이미지와 3초의 짧은 영상으로 구성되었다.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기술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표현했지만,
더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100여 개가 넘는 AI 콘텐츠 제작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로운 표현 방식을 연구했다.

AI chip glowing


STEP. 2

AI 콘텐츠 방식의 변화차별화된 DAILY 콘텐츠

AI 기반 콘텐츠가 소셜미디어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가운데,

DAILY는 차별화를 위해 기획 단계부터 접근 방식을 전환했다.

프롬프트 최적화

실사와 유사한 표현을 유도하는 고정 키워드를 활용해 원하는 결과물을 정밀하게 도출했다.

레퍼런스 이미지 적용

AI가 특정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도록,
참고하는 이미지를 학습시킨 후 역으로 프롬프트를 추출하여 이미지를 생성했다.



*FOOH(가상 옥외광고) 제작

기존에는 고도의 합성 기술이 필요한 작업이었지만,
AI를 활용해 더 효율적이면서도 현실적인 비주얼을 구현했다.

*FOOH(Fake Out-Of-Home): OOH(Out of Home, 옥외광고) 앞에 ‘Fake(가짜)’를 붙여 만든 합성어로,
디지털 기술(CGI)을 활용하여 만든 실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옥외광고. 주로 디지털 플랫폼과 소셜미디어에서 활용되며,
현실감 있는 연출로 몰입감을 높이고 비용 효율성과 바이럴 효과를 극대화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AI 기반 카툰 & 피드 연결 콘텐츠

스토리 전달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 컷으로 구성된 AI 카툰을 제작하고,
SNS 피드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콘텐츠를 구현했다.


STEP. 2

AI 콘텐츠 방식의 변화차별화된 DAILY 콘텐츠

AI 기반 콘텐츠가 소셜미디어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가운데,

DAILY는 차별화를 위해 기획 단계부터 접근 방식을 전환했다.

프롬프트 최적화

실사와 유사한 표현을 유도하는 고정 키워드를 활용해
원하는 결과물을 정밀하게 도출했다.

레퍼런스 이미지 적용

AI가 특정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도록,
참고하는 이미지를 학습시킨 후 역으로 프롬프트를 추출하여 이미지를 생성했다.

*FOOH(가상 옥외광고) 제작

기존에는 고도의 합성 기술이 필요한 작업이었지만,
AI를 활용해 더 효율적이면서도 현실적인 비주얼을 구현했다.

*FOOH(Fake Out-Of-Home): OOH(Out of Home, 옥외광고) 앞에 ‘Fake(가짜)’를 붙여 만든 합성어로,
디지털 기술(CGI)을 활용하여 만든 실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옥외광고.
주로 디지털 플랫폼과 소셜미디어에서 활용되며, 현실감 있는 연출로 몰입감을 높이고
비용 효율성과 바이럴 효과를 극대화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Background

FOOH

AI 기반 카툰 &
피드 연결 콘텐츠

스토리 전달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 컷으로 구성된 AI 카툰을 제작하고,
SNS 피드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콘텐츠를 구현했다.

Background

카툰 형식

Background

피드 연결

STEP. 3

AI 영상 콘텐츠의 확장

기존 DAILY 영상은 단순 무비 처리 방식이었으나,
완성도 높은 영상 제작을 위해 AI 기술을 적극 활용했다.

AI 릴스 제작

AI가 앞뒤 영상의 흐름을 분석하여
자연스럽게 연결한 긴 영상으로 확장해 전달력을 강화했다.

STEP. 4

AI 음원 결합

콘텐츠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AI 오디오 음원을 결합했다.
프롬프트에 DAILY를 표현하는 문장과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맞춤형 AI 음원 제작

DAILY 콘텐츠의 분위기에 맞춰 음악 장르, 가사의 유무, 보컬 스타일을 설정해
AI 음원을 생성했다.

사운드 디자인 최적화

AI가 생성한 오디오 음원을 영상의 분위기에 맞춰 조정하고,
음악 길이를 편집해 완성도를 높였다.

맞춤 모드

 

가사

 

Music Prompt
City Pop
BGM
futuristic
Musical style
Piano
Violin
rhythmic

 

AI 메모리 더 알아보기

[Global No.1 AI Company]

[Global No.1 AI Company]

글로벌 시장 부동의 1위, SK하이닉스의 HBM

기사 보기 →

SK하이닉스, DDR5 DRAM CXL Memory

SK하이닉스, CXL 2.0 기반 DDR5

고객 인증 완료 ‘데이터센터 메모리 혁신 선도’

기사 보기 →

[FUTURE CITY] EP5. AiM – AI 성능을 극대화

SK하이닉스, ‘TSMC 2025 테크놀로지 심포지엄’

참가… “HBM4 선보여 AI 메모리 리더십 부각”

기사 보기 →

 

]]>
AI로 애니메이션을 만든다면? 반도체 세상 속 이야기 ‘나노마을 친구들’ /ai-in-your-area-6/ Wed, 30 Oct 2024 00:00:13 +0000 /?p=48158




EP.6 AI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면

가장 생생한 AI 체험기

모든 일상에 AI가 스며드는 시대 –
SK하이닉스 뉴스룸이 생성형 AI를 직접 사용하고, AI의 가능성과 변화할 미래 모습을 탐구합니다

창작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인공지능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창작의 동반자가 되었다.
지금 우리는 더 이상 시간과 자원에 얽매이지 않고
AI와 같은 혁신적인 도구들을 활용해 한계 없는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나노마을 친구들
영상 보기

Mission

AI로 애니메이션 제작하기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AI를 활용하면 기획, 시나리오 작성, 작화, 편집, 녹음까지 모든 제작 과정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뉴스룸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SK하이닉스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을 쉽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보았다.

How To Make It

AI로 시나리오 컨셉부터
영상까지 제작하기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영상 제작 과정이 변하고 있다.
반복 작업은 자동화돼 창작자들이 창의적인 작업에 더 열중하게 됐으며 제작 시간과 비용도 크게 줄었다.
새로운 제작 기법들도 누구나 시도할 수 있도록 열려 창작의 지평도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시나리오 작성부터 편집, 그래픽 디자인, 내레이션까지 제작 전 단계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해 보았다.

STEP 1
시나리오 1차 추출
시나리오는 애니메이션의 기초다.
생성형 AI에 ‘반도체’, ‘첨단’, ‘미래’, ‘화합’ 등의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변화하는 AI 시대 속 메모리 반도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시나리오를 주문했다.
STEP 1. 시나리오 1차 추출
STEP 2
구체적인 시나리오 설정

추출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로그라인*을 설정하고,
배경·캐릭터·상황 등 세부 항목들을 구체화했다.

*로그라인(Logline): 영화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중심 아이디어를 간결하게 요약한 문장.
주로 이야기의 주인공, 주요 갈등, 목표, 전환점을 포함하여 관객의 관심을 끌고, 제작자와 투자자에게 작품의 핵심 요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배경 설정
나노마을: 반도체 속 작은 마을로 사람들과 나노 로봇들이 서로 협력해 나노 물질(데이터)을 기른다.
캐릭터 설정
마을 주민: 나노 물질을 관리하는 사람들로 조화로운 공동체를 상징한다.
나노 로봇: 사람들과 함께 나노 농장에서 일하는 로봇으로 위기 상황에서 소녀를 돕는다.
마법 소녀: SK하이닉스 연구원으로 마법봉(기술)으로 고장 난 나노 로봇을 수리하여 마을에 닥친 위기를 해결한다.
상황 설정
발열 문제: 급변하는 AI 시대에 적응하지 못한 나노마을에 위기가 발생한다.
처리해야 할 나노 물질(데이터)이 증가하며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이는 AI 시대 빅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반도체에 발열이 일어나는 것을 상징한다.
위기 극복: 나노 로봇들은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SK하이닉스 연구원인 마법 소녀가 첨단 반도체 기술이 집약된 HBM3E로 마을을 위기에서 구한다.
STEP 2. 구체적인 시나리오 설정
STEP 3
캐릭터 이미지 구체화
캐릭터의 특징을 구체화하는 단계다.
이야기 전반에 등장하는 ‘나노 로봇’의 경우 미래 지향적이며 친근한 이미지로
표현하기 위해 둥근 형태의 로봇으로 설정했다. 이야기 중반부터 등장해 위기에
처한 마을을 구하는 역할인 ‘마법 소녀’는 SK하이닉스 연구원을 상징하는 캐릭터인 만큼 망토와 모자 색을 CI* 컬러 중 하나로 정했다. 더불어 신비로운 느낌과
기술의 중요성을 표현하기 위해 ‘마법봉을 든 소녀’로 설정했다.

*CI(Corporate Identity): 기업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기업 이미지를 통합하는 작업 및 그 결과물

STEP 3. 캐릭터 이미지 구체화
STEP 4
이미지 추출
앞서 추출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모든 장면을 이미지로 만드는 단계다.
원하는 이미지가 생성될 때까지 다양한 프롬프트를 입력해 장면마다 평균 100장의 이미지를 추출했다.
더불어 추출된 이미지들이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도록
각 캐릭터의 통일성을 고려해 프롬프트를 작성했다.
STEP 4. 이미지 추출
STEP 5
영상 추출
추출된 이미지들로 원하는 움직임을 얻어내기 위해 여러 생성형 AI를 활용했다.

스토리와 연출 방향에 맞는 모션을 프롬프트로 입력하면 5초 혹은 10초 분량으로 영상 인코딩*이 시작된다. 이때 원하는 표현과 모션에 따라 분량을 잘 조정해야 하는 것은 물론 두 장의 이미지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추출할 경우 모션이 왜곡되지 않도록 적절하고 간결한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것이 필수다.

*인코딩(Encoding): 코드화, 암호화를 의미. 데이터를 특정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컴퓨터의 정보 처리와 이해를 도움
데이터 특성에 따른 다양한 인코딩 방식을 활용하여 정보의 효율적인 저장, 전송, 압축에 필수적인 역할 수행

STEP 5. 영상 추출
STEP 6
내레이션 제작
애니메이션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AI 성우를 활용했다.
내레이션을 문단, 문장별로 구분하고 상황에 맞는 표현을 위해 다양한 조율 작업을 진행했다.
STEP 6. 내레이션 제작
STEP 7
후보정 작업
마지막으로 추출한 각 영상을 이어주는 편집 작업이다.
각 장면의 통일성을 위해 색을 보정하고 리터칭, 음향 효과 등 후반 작업을 통해 완성도를 높였다.
STEP 7. 후보정 작업

Epilogue

도구를 넘어 창작의
동반자로 도약하는 AI

이번 프로젝트는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창작의 동반자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시나리오 작성부터 비주얼 디자인, 영상 제작, 그리고 후반 작업까지 AI를 활용하여 작업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

예술 분야 AI 도입에 논란도 있다. 하지만 동시에 AI 기술과 인간의 창의성을 융합하려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여러 영화제에서 AI로 제작한 영화가 공개되고 있는데,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2023년 최초로 AI 제작 영화 ‘아그로 드리프트’를 초청 상영했으며, 국내에서는 부천국제영화제가 올해 최초로 AI 제작 영화를 선보였다.

AI는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고 때로는 그 이상의 영감을 제공한다. AI와 인간이 협력하는 새로운 창작 방식은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이다. SK하이닉스는 다양한 산업에 앞선 AI 솔루션을 제공하며, AI 기반 창작뿐만 아니라 다양한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을 현실로 만들며 AI가 주도하는 새로운 시대의 문을 열고, 세상을 더욱 즐겁고 풍요롭게 변화시킬 것이다.

AI 메모리 더 알아보기

  • [Global No.1 AI Company]
    SK하이닉스 AI 메모리 기술을 한눈에 – 종합편

     

  • [세계 최초 10나노급 6세대 1c DDR5 개발 주역 좌담회] SK하이닉스, D램 1등 기술 리더십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연다

     

  • [AI & SEMICONDUCTOR] AI가 SK하이닉스 LPCAMM2를 묻다

     

]]>
AI로 누구나 작곡가가 될 수 있는 세상, AI로 SK하이닉스 음원을 만들다 /ai-in-your-area-5/ Fri, 04 Oct 2024 00:00:30 +0000 /?p=48156

가장 생생한 AI 체험기

EP.5AI가 음악을 작곡한다면

모든 일상에 AI가 스며드는 시대 – SK하이닉스 뉴스룸이 생성형 AI를 직접 사용하고
AI의 가능성과 변화할 미래 모습을 탐구합니다

가장 생생한 AI 체험기



AI & Life SK hynix MINI ALBUM

Mission

AI음원 만들기

음악 창작은 오랫동안 전문적인 지식과 상상력을 요구하는 예술 분야였다.
하지만 AI 기술의 발전 덕분에 음악적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간단한 프롬프트만 입력하여 손쉽게 작곡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AI를 활용해 작사와 작곡을 하고, 노래 가사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리릭 비디오*까지 제작해 보았다.

* 리릭 비디오(Lyric Video): 노래의 가사(리릭, lyric)를 강조한 비디오 형식으로, 노래의 가사를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둔 영상

SK hynix MINI ALBUMTRACK LIST

  • 초기술로 연결된 꿈WE DO AI TECHNOLOGY
    Lyrics & Composed by AI
  • Future SpeedHBM3E
    Lyrics & Composed by AI
  • I’m PIMAiM/AiMX
    Lyrics & Composed by AI
  • 초기술로 연결된 꿈WE DO AI TECHNOLOGY
    Lyrics & Composed by AI
  • Future SpeedHBM3E
    Lyrics & Composed by AI
  • I’m PIMAiM/AiMX
    Lyrics & Composed by AI


How to make it

작사부터 작곡까지

AI 음원 만들기

하나의 음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어 구상, 작사, 작곡, 보컬 생성, 믹싱, 마스터링 등의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 과정은 수일에서 수개월이 걸리지만, 생성형 AI는 단 몇 분 만에 완성할 수 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AI를 활용해 가사를 만들고, 원하는 보컬과 장르를 선택해 SK하이닉스의 슬로건과 제품의 음원을 만들었다.
완성도 높은 음원을 제작하기 위해 AI와 함께 치열하게 고민했던 과정을 소개한다.

STEP 01
아이디어 구상 및 가사 작성
SK하이닉스의 슬로건은 “WE DO TECHNOLOGY”이다.
이 슬로건에는 ‘첨단기술의 중심이자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회사’라는
정체성이 압축적으로 담겨있다. 뉴스룸은 여기에 AI를 강조한
“WE DO AI TECHNOLOGY” 슬로건을 활용해 음원을 제작하기로 했다.
생성형 AI에 홈페이지와 뉴스룸 링크를 제공해 학습시킨 뒤,
음원의 주제와 메시지를 도출해 가사를 생성하도록 요청했다.
AI가 적합한 음악 장르를 추천하고, 해당 장르와 어울리도록
가사를 수정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STEP 01. 아이디어 구상 및 가사 작성
STEP 01. 아이디어 구상 및 가사 작성
STEP 02
작곡 및 보컬 생성
음원 생성형 AI에 가사를 입력한 후 원하는 장르, 보컬, 길이 등을
선택해 음원을 생성하도록 지시했다.
프롬프트를 자세하게 입력할수록 음원의 퀄리티가 높아졌다.
STEP 02. 작곡 및 보컬 생성
STEP 02. 작곡 및 보컬 생성
STEP 03
앨범 커버 이미지 및
리릭 비디오 제작
가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리릭 비디오를 제작했다.
앨범 커버로 사용할 이미지와 이를 활용한 모션 작업은 모두 생성형 AI를 통해 진행했다.
AI에게 가사에 어울리는 비주얼 콘셉트를 구상해 달라고 요청했고,
AI가 만든 프롬프트를 바탕으로 이미지와 모션을 생성했다.
STEP 03. 앨범 커버 이미지 및 리릭 비디오 제작
STEP 03. 앨범 커버 이미지 및 리릭 비디오 제작

Epilogue

AI와 함께 도전한

새로운 예술 창작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아 직접 음원을 만들어봤다.
작곡 경험이 전혀 없어 처음에는 막막했지만,
AI와 상호작용하며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멜로디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AI는 초기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다양한 음악적 요소를 제안하는 등 창작 과정을 가속화했다.
AI의 발전은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자극해
문화 산업을 더욱 풍성하게 키워낼 가능성을 품고 있다.

AI 기술을 지원하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이 이러한 혁신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AI와 인간의 협업은 더 많은 창의적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다.
AI와 메모리 기술의 결합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새로운 문화와 예술의 지평을 여는 데 기여할 것이다.

AI 메모리 더 알아보기

  • [Global No.1 AI Company]
    SK하이닉스 AI 메모리 기술을 한눈에 – 종합편

     

  • [세계 최초 10나노급 6세대 1c DDR5 개발 주역 좌담회] SK하이닉스, D램 1등 기술 리더십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연다

     

  • [AI & SEMICONDUCTOR] AI가 SK하이닉스 LPCAMM2를 묻다

     

]]>
광고 카피, AI로 쓴다면? 뉴욕 거리 SK하이닉스 AI MEMORY로 물들다 /ai-in-your-area-4/ Fri, 30 Aug 2024 00:00:08 +0000 /?p=48154

가장 생생한 AI 체험기

EP.4 AI로 광고 카피를 쓴다면

모든 일상에 AI가 스며드는 시대 –SK하이닉스 뉴스룸이 생성형 AI를 직접 사용하고
AI의 가능성과 변화할 미래 모습을 탐구합니다


Mission

AI로
광고 카피
만들기

광고는 소비자에게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짧은 문장 안에 제품의 핵심을 담아야 하는 특성 때문에,
광고 카피를 작성하는 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 AI를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카피를 작성할 수 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AI로 SK하이닉스 반도체의 광고 카피를 쓰고,
카피를 적용한 광고를 가상으로 뉴욕에 홍보하는 상상물을 선보인다.

뉴욕 타임스퀘어

만약에…
뉴욕 거리를 강타한
SK하이닉스 AI 메모리

  • 미국 뉴욕 거리가 메모리 반도체 광고로 화려하게 변신했다. SK하이닉스는 30일(미국 시간)부터 8종의 메모리 반도체 제품을 소개하는 광고를 뉴욕에 내걸었다. 이번 광고에서는 ▲HBM3E ▲GDDR6-AiM ▲CXL 2.0 ▲MCR DIMM ▲LPCAMM2 ▲ZUFS 4.0 ▲Beetle X31 ▲Hi-5022Q의 제품들이 소개되었다.지나가던 한 시민은 “여러 개의 대형 스크린에서 최첨단 기술을 소개하는 광고를 보니 정말 놀랍다. SK하이닉스의 AI 메모리 기술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느껴진다”고 말했다.
  • 또 다른 시민은 “뉴욕 한복판에서 한국 기업의 광고를 보게 되어 자랑스럽다. 기술력뿐만 아니라 마케팅에서도 글로벌 리더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것 같다”는 소감을 전했다.SK하이닉스는 “뉴욕이라는 상징적인 장소에서 자사의 첨단 기술력을 널리 알리고, 글로벌 No.1 AI 메모리 프로바이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이번 광고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앞으로도 글로벌 리더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며,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ko





How To Make IT

AI로 광고 카피 만들기

문장 작성은 생성형 AI의 특화 영역이다. 생성형 AI는 간단한 요구에도 수준 이상의 결과물을 내놓지만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맥락에 따라 내놓는 결과물의 퀄리티도 달라진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AI로 제품 정보를 정리하고, 핵심 특징을 도출하는 과정을 거쳐 광고 카피를 고도화하고 완성해 보았다.

STEP 01.
타깃 고객과 고객 니즈 도출
먼저 광고 카피를 논리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제품의 타깃 고객이 누구인지, 그들의 니즈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단계를 거쳤다.생성형 AI에게 각 제품의 주요 고객과 고객 니즈를 조사하라고
명령해 고객이 제품에 기대하는 바를 압축적으로 정리했다.
타깃 고객과 고객 니즈 도출
STEP 02.
자료 입력 후 USP 도출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란
제품이 타제품과 차별화되는 고유한 특성을 뜻한다.
생성형 AI에 각 제품의 스펙, 자료, 뉴스룸 기사를 입력하고
각 반도체의 특성이 담긴 USP를 도출했다.
자료 입력 후 USP 도출
STEP 03.
메시지 구상 및 윤문
AI에 고객 니즈, USP를 입력하고
광고 비주얼 이미지와 연계 된 카피 문구를 구상하라고 지시했다.일차적으로 각 제품의 소구점을 담은 문구를 얻은 뒤 이를 윤문했다.
AI에게 ①40자 내외 ②비유와 은유 활용 ③고정관념을 깨는 단어 사용
④제품 특성이 직관적으로
이해되는 표현 등 네 가지 규칙을 주고 윤문을 지시했다.

이를 통해 “HBM3E – 데이터의 비행, 수직 통로를 따라 초고속으로”,
“데이터 대동맥 CXL, 나눠진 메모리를 하나로 연결하다”와 같이
독특한 문구를 얻었고, 다시 이를 다듬어 광고 카피로 완성했다.

메시지 구상 및 윤문

EPILOGUE

AI,
인간의
창의성을
실현하는
파트너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AI와 상호작용하며 광고 카피를 고도화했다.
AI로 정보 수집 및 정리를 하는 과정에서 광고 카피에 필요한 논리를 가다듬을 수 있었고,
메시지 구상 단계에서는 초기 아이디어를 빠르게 얻어 효율적으로 최종 카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었다. AI는 이번 과정에서 보듯 인간이 가진 아이디어를 함께 발전시키고 돕는 파트너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AI가 인간의 창의성을 자극하고 현실화하는 도구로 사용된다면, AI의 발전은
곧 개인의 성장과 사회의 발전으로도 이어질 것이다.
AI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는 바로 메모리 반도체 기술이다.
SK하이닉스의 첨단 메모리 솔루션은 AI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실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AI와 메모리 반도체의 결합은 앞으로도 산업 전방위의 발전을 이끌 뿐만 아니라,
AI를 활용하는 인간의 진보도 가속할 것이다.

AI 메모리 더 알아보기

  • [Global No.1 AI Company]
    글로벌 시장 부동의 1위, SK하이닉스의 HBM

     

  • SK하이닉스, DDR5 DRAM CXL Memory 개발… CXL 메모리 생태계 확장 나서

     

  • [FUTURE CITY] EP5. AiM – AI 성능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솔루션

     

]]>
AI가 상상한 반도체와 미래모습은? AI로 무한의 세상 ‘인피니트 줌’ 영상을 만들다 /ai-in-your-area-3/ Mon, 29 Jul 2024 00:00:35 +0000 /?p=48152



EP.3 AI가 상상한 미래로 영상을 만든다면

가장생생한

AI 체험기

모든 일상에 AI가 스며드는 시대 –
SK하이닉스 뉴스룸이 생성형 AI를 직접 사용하고
AI의 가능성과 변화할 미래 모습
을 탐구합니다

Mission

AI 로 ‘인피니트 줌’ 영상 만들기

AI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다채로운 영상 콘텐츠를 보다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됐다.

생성형 AI로 원하는 이미지와 영상을 만들고, 새로운 시각적 표현도 무궁무진하게 시도할 수 있게 되었는데

화면이 끊임없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인피니트 줌(Infinite Zoom) 영상도 그중 하나다.

뉴스룸은 AI를 통해 SK하이닉스 반도체가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상상해 보고
이를 반도체부터 미래까지 원테이크로 이어지는 영상으로 만들어 보았다.

  • 01DRAM –
    The Power of AI영상 보기

  • 02NAND –
    The Heart of AI영상 보기

  • 03CIS –
    The Eye of AI영상 보기

  • 01DRAM –
    The Power of AI영상 보기

  • 02NAND –
    The Heart of AI영상 보기

  • 03CIS –
    The Eye of AI영상 보기

How To Make IT

기획부터 작화까지
AI로 영상 만들기

인피니트 줌처럼 여러 이미지가 이어지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스토리 기획, 스케치 및 작화 등 많은 작업이 필요하다.
이번에도 AI를 활용해 프롬프트(명령문)만으로 간단히 영상을 만들 수 있었는데, 이 과정을 스텝 별로 살펴보자.

STEP 01
콘티 제작
AI의 무한한 상상력을 활용하기 위해, 생성형 AI에게 반도체가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상상해 달라 요청하고 답변을 바탕으로 영상 스토리를 만들었다.

그리고 AI에게 “스토리를 콘티로 제작해 줘”라고 입력하자, 직접 상상할 수 없었던 장면이 이미지로 출력됐다. 이를 통해 영상 제작에 필요한 시각적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1
2
STEP 02
콘티에서 프롬프트 추출
다음 단계로 콘티에서 각 장면을 묘사하는 영문 프롬프트를 추출했다.

AI에게 콘티를 주고 비슷한 이미지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지만, 프롬프트라는 ‘텍스트’ 단계에서 원하는 요소를 추려내면 더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이를 AI 사용자들은 ‘프롬프트를 깎는다’고 표현하곤 한다.

또한, 국문보다 영문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데, AI가 학습한 자료의 대부분이 영문일 뿐 아니라 다른 언어에 비해 AI 사용량 지표인 토큰* 사용이 적기 때문이다.

AI에게 콘티의 한 컷을 주고 “이 이미지에 어떤 프롬프트가 쓰였어?”라고 묻자, 다음과 같은 답이 나왔다.

“a black and white storyboard panel of two people watching multiple screens showing family images on the wall in front, one person is holding a tablet that has pictures displayed on it, cartoon style illustration(만화 스타일로 그려진 흑백 스토리보드 패널로, 두 사람이 벽 위에 걸린 여러 개의 화면에서 가족사진을 보고 있고, 둘 중 한 명은 사진을 보여주는 태블릿을 들고 있는 모습)”

이 장면에서 보여주고 싶은 핵심은 가족사진을 보여주는 스크린이므로, “multiple screens showing family images(가족사진을 보여주는 여러 개의 스크린)”라는 키워드를 살려 새 프롬프트에 활용했다. 이처럼 핵심 키워드를 선별해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원하는 것에 집중해야 예상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 토큰(Token): AI는 텍스트 데이터를 여러 개의 작은 단위로 쪼개 자연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데, 이 과정에서 분할된 텍스트의 최소 단위를 토큰이라 부른다. 토큰은 AI 툴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단위로 활용된다.

STEP 03
프롬프트에 세부 키워드 더하기
스텝 2에서 추출한 핵심 키워드에 세부 키워드를 더해 구체적인 이미지를 생성했다.

예를 들어 사실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realistic’ 키워드를 프롬프트에 추가했고, 하나의 피사체만 가깝게 보여줄 땐 ‘close-up’을 사용했다. 이외에 조명, 구도 등을 바꿔가며 장면에 맞는 여러 이미지를 만들었고, 이미지 생성 AI의 외곽 확대 기능*을 이용해 연속된 이미지를 제작했다.

* 외곽 확대 기능: 주어진 이미지의 외곽을 확장하여 더 넓은 장면을 만드는
기능으로, 여러 이미지 생성 AI 도구에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미드저니의 ‘Zoom out’ 기능과 포토샵의 ‘Generative Fill’ 기능이 이에 해당한다.

3
4
STEP 04
화질 고도화
인피니트 줌 영상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스텝 3에서 생성한 이미지 화질을 기존보다 향상시켰다. 과거에는 저화질 사진의 해상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지만, 이제 AI 기술로 화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AI는 이미지의 특징과 패턴을 파악해 저화질 이미지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새로운 픽셀을 생성해 더 선명한 이미지를 만든다. 이것이 이미지 업스케일링 AI의 원리로,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해 주어진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로 이미지를 변환하여 고화질 영상을 완성했다.

Epilogue

AI,
창작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AI 기술 덕에 이제 전문적인 기술이나 고가의 장비 없이도 누구나 영상 같은 고도의 창작물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인피니트 줌처럼 이전에는 만들기 어려웠던 결과물을 간편히 만들고, 새로운 기법도 손쉽게 실현할 수 있게 되면서 창작의 문턱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혁신은 새로운 크리에이터들의 등장을 촉진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담은 콘텐츠들이 나오게 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또한 AI는 창작을 위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함으로 제작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이를 사용하는 이들로 하여금 보다 창의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바로 메모리 반도체가 있다. 메모리 반도체는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 AI를 지원한다. 메모리 반도체 기술의 진보는 AI의 성능을 향상하고, 많은 이들이 창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가 만들어지는 시대를 열어갈 것이다.

AI 메모리 더 알아보기

  • [Global No.1 AI Company]
    글로벌 시장 부동의 1위, SK하이닉스의 HBM

     

  • SK하이닉스, 차세대 모바일 낸드 솔루션 ‘ZUFS 4.0’개발

     

  •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어낸 SK하이닉스 신민석 팀장, 과학기술진흥 유공 장관 표창으로 공로…

     

]]>
AI로 논문 요약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SK하이닉스 글로벌 RTC와 AI가 써낸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기술 전망 보고서’ /ai-in-your-area-2/ Thu, 13 Jun 2024 00:00:04 +0000 /?p=48150

가장생생한AI 체험기

EP.2 AI로 보고서를 만든다면

모든 일상에 AI가 스며드는 시대 –
SK하이닉스 뉴스룸이 생성형 AI를 직접 사용하고
AI의 가능성과 변화할 미래 모습을 탐구합니다

Discover AI-generated content

AI로 완성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보고서

메모리 반도체의 발전이 곧 AI의 성능 향상으로 직결되면서,
미래 메모리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이에 뉴스룸은 SK하이닉스의 차세대 반도체 연구 조직,
Global RTC(Revolutionary Technology Center)와 함께
생성형 AI를 활용해 메모리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기술 전망 보고서’를 제작했다.

보고서 작성에는 기업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SK(주) C&C의 AI 솔루션 ‘Solur’를 활용했다.

회사 업무도 AI가, SK(주) C&C의 AI 솔루션 ‘Solur’

SK(주) C&C의 AI 솔루션

생성형 AI의 출현 이후, 기업 업무에 AI를 도입하는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다. SK(주) C&C는 올해 2월 챗GPT와 같은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을 연계해 기업 업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AI 솔루션 13종을 출시했다.

SK(주) C&C의 AI 솔루션 ‘Solur’는 AI 챗봇 서비스 ‘MY 챗’, AI 코딩 서비스 ‘Codev’, AI보고서 제작 서비스 ‘tok.AI’ 등 범용 서비스와 인사·회계·법무·R&D·마케팅·고객관리 등 직무 영역별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전문 AI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How To Make IT

AI 하나로 보고서를 만들다

AI시대를 맞아 반도체 업계는 중장기 관점에서 반도체 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혁신 기술 확보에 역량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발맞춰 Global RTC는 SK하이닉스의 AI 메모리 반도체 기술 개발 전략을 세우기 위한 보고서를 작성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 SK(주) C&C의 AI 솔루션을 사용하여 자료 검증부터, 논문 요약, PPT 자료 작성, 슬라이드 편집 등의 과정을 거쳐 간편하게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었다. 제작 단계에서 생성형 AI가 각 과정을 어떻게 수행했는지, 함께 따라가 보자.

01
어려운 논문도 척척,
AI로 요약하기
보고서에 담을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SK(주) C&C의 AI 챗봇 ‘MY 챗’으로 Global RTC 조직에서 발간한 논문 4개를 자동 번역 및 요약했다. 방대하고 전문적인 내용이 빠르게 번역되는 동시에,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키워드를 중심으로 핵심 내용만 요약됐다.

또한 MY 챗에 적용된 ‘검색 증강 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기술 덕에 정확한 팩트만이 담긴 요약문을 얻을 수 있었다.

RAG란 생성형 AI가 검색과 생성을 분리해 신뢰할 수 있는 소스에서만 정보를 찾아 답변하는 기술로, AI 답변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02
고민 없이, 클릭으로
보고서 초안 완성
다음 단계로 SK(주) C&C의 보고서 자동 생성 AI 솔루션 ‘tok.AI’를 활용했다.

주제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기술 전망’을 입력하고, 오디언스(독자) 수준과 목차 개수를 설정했다.

클릭 몇 번으로 일목요연한 목차가 만들어졌고, 간단한 설정으로 보고서의 난이도와 분량을 조절할 수 있었다.

03
AI와 대화로
보고서 수정
각 슬라이드는 tok.AI와 대화하며 수정했다. 슬라이드 레이아웃을 원하는 구조로 변경하기도 하고, 부족한 내용은 추가 해달라 요청하면서 보고서를 고도화 해나갔다.

간단한 대화와 클릭만으로 제작할 수 있어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었다.

04
AI로 보고서
디자인도 초간단
마지막으로 프레젠테이션 템플릿 제작에는 범용 AI를 사용했다.

프레젠테이션 생성 AI에게 “미래, 기술 느낌의 템플릿을 만들어줘”라고 요청했다. AI는 요구하는 바에 맞춰 적절한 템플릿을 다양하게 추천해 주었다. 디자인 지식이 없어도, 용어를 몰라도 AI 덕에 원하는 바를 ‘창조’가 아니라 ‘선택’으로 구현할 수 있었다.

Epilogue

AI로 일하는
시대가 온다

요즘 SK(주) C&C를 비롯한 IT업계에서는 기업 맞춤형 AI 개발이 활발하다. 정확성과 신뢰가 중요한 만큼 비즈니스 차원에서 AI를 사용하는 것은 아직 어렵다는 여론도 있으나, 허위 정보를 생산하는 할루시네이션1)같은 AI의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번 체험을 통해 사무 업무에 AI를 사용했을 때의 장점을 확인했다. 정확한 팩트로 자료를 정리할 수 있었고, 여러 업무 툴을 능숙하게 사용하지 못해도 빠른 시일에 필요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었다. 또한 기업 맞춤형 AI는 보안 안정성도 담보할 수 있어, 방대한 사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면 생산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단, 이 모든 과정에서 어떠한 내용으로 작성하고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까지 AI가 최상의 답을 할 수 있도록 훈련 시키고 이끌어내는 프롬프트 엔지니어2)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독자를 위해 쉽게 표현하고 번역 시 적절한 용어를 선택하는 것은 물론 논리적인 문단 구성을 위해선 담당자가 확인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생성형 AI 붐으로 많은 기업이 AI를 도입하면서 기업형 AI 서비스도 빠르게 고도화되고 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실시간 응답이 요구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빠른 메모리 액세스와 안정적인 데이터 보관이 가능한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의 지원은 필수다. 메모리 반도체의 발전은 AI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일상을 비롯해 업무에도 AI가 도입되는 세상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1. 1)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인공지능 언어 모델에서 주어진 데이터 또는 맥락에 근거하지 않은 잘못된 정보나 허위 정보를 생성하는 것
  2. 2)프롬프트 엔지니어: AI가 최상의 답을 할 수 있도록 훈련 시키고 AI로부터 최상의 답을 이끌어 내는 일을 하는 사람

AI 메모리 더 알아보기

  • SK하이닉스, 차세대 모바일 낸드 솔루션
    ‘ZUFS 4.0’ 개발

     

  • SK하이닉스, ‘CXL DEVCON 2024’ 참가…
    AI 시대 이끌 다양한 CXL 메모리 제품 공개

     

  • SK하이닉스, 엔비디아 GTC에서 AI PC용
    최고 성능 SSD 신제품 공개

     

]]>
AI가 SK하이닉스의 안전 순찰 로봇 ‘가온’ 인터뷰 기사를 쓴다면? /ai-in-your-area-1/ Tue, 16 Apr 2024 00:00:46 +0000 /?p=48145

가장 생생한 AI 체험기

새로운 시대는 새로운 역량을 요구한다.
지식이 무한 확장하는 이 시대의 미션은
지식을 아는 것이 아니라 잘 다루는 것이다.

모든 일상으로 AI가 스며드는 출발점에 선 우리는
이 시대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SK하이닉스 뉴스룸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 보며 해답을 찾아보기로 했다.

EP.01

AI가 SK하이닉스의 안전 순찰 로봇
‘가온’ 인터뷰 기사를 쓴다면?

콘텐츠 산업에 생성형 AI가 접목되기 시작하면서, AI가 쓴 기사를 보는 것은
놀랍지 않은 일이 됐다. 하지만 AI가 작성한 글은 대부분 정해진 틀 안에서
사실 전달에 주력한다.

이번 체험은

‘생성형 AI로 어떤 형태의 기사까지 완성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에서 시작했다.

뉴스룸은 이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생성형 AI에 인격을 부여하고 SK하이닉스의
순찰 로봇 ‘가온’을 가상으로 인터뷰하는 새로운 형태의 AI 기사를 완성해 봤다.

Mission

국민안전의 날,
순찰 로봇
‘가온’을 만나다

HOW TO MAKE IT

AI가 쓴 인터뷰 기사, 어떻게 완성했나?

기사에서 보듯 뉴스룸은 생성형 AI와 로봇 ‘가온’에 각각 인터뷰이,
인터뷰어 페르소나를 부여해 로봇이 로봇을 인터뷰하는 듯한 문장을 완성했다.

그러나 기사 작성은 단순히 문장을 쓰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자료 조사와 기사 작성, 퇴고 등의 단계로 이뤄진다.
뉴스룸에서는 이 모든 과정에 AI를 활용했다. 그 과정을 함께 살펴보자.

01에디터 페르소나 부여하고
질의서 추출하기
먼저 생성형 AI에 SK하이닉스 뉴스룸 에디터 ‘채대리’라는 정체성을 부여하고,
뉴스룸과 비슷한 스타일의 글을 써달라고 요청했다.
다음으로 ‘안전 관리 로봇 가온’ 관련 자료를 학습시켜 이를 토대로 가온을
인터뷰하기 위한 질의서, 가온 개발 구성원을 인터뷰하기 위한
2종을 추출했다.

이 모든 과정을 완료하는 데 걸린 시간은 단 5분이다.

02가온 페르소나 부여하고
초안 작성하기

다음으로 로봇 가온의 입장에서 답변을 받기 위해 인터뷰이 페르소나를
부여하고

‘가온이 직접 말하는 것처럼 써달라’

고 요청했다. 생성형 AI는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가온을 1인칭 화자로 두고 하는 능력을 보였다.

그리고 구성원 인터뷰 답변서를 추가로 입력해 기사 초안에 구성원 의견을
담아 달라고 요청했다. 채대리는 가온의 의견과 구성원의 의견을 구분해 내며
성공적으로 초안을 작성했다.
03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퇴고하기

원고의 어조와 길이도 생성형 AI를 통해 수정했다. 채대리의 능력 중 가장

 

요긴한 것은 바로 이 부분이었다.

어색한 말투를 ‘기사 톤’으로 고쳐 달라고 하자 훨씬 자연스러운 문장이 나왔고,
다시 이를 구성원이 말하듯 SK하이닉스의 가치관 ‘New CoC’ 내용을 녹여
달라고 하니 맥락에 맞는 답변이 나왔다.
마지막으로, 원고 길이를 늘리고 줄이는 부분도 채대리의 도움을 받아 기사를
완성했다.

Epilogue.

생성형 AI는 제공된 정보와 요청사항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 기사를 작성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독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매력적인 내용 생성부터 원고 길이 조정까지, 채대리는 효율적이고 정확한 도구로서 그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기사를 작성하며 가장 편리했던 점은 자료만 제공하면 고민 없이 다양한 형태의 글을 즉각적으로 만들어내고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생성형 AI 덕에 로봇 가온에게 인격을 부여해 인터뷰한다는 아이디어를 바로 실현할 수 있었고,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다면 무궁무진한 형태의 창작물을 구현하고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다. 단, 중간중간 사람이
확인하는 과정은 필수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한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반도체의 발전 덕분이다. 오늘날 생성형 AI가 복잡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맞는 내용을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는 것은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의 지원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메모리 반도체는 AI의 핵심적인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우리가 일상과 업무에서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AI와 함께 성장하는 미래에서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는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AI 메모리 더 알아보기

  • [Global No.1 AI Company]
    SK하이닉스 AI 메모리 기술을 한눈에

     

  • SK하이닉스, 초고성능 AI 메모리 ‘HBM3E’
    세계 최초로 본격 양산해 고객 납품 시작

     

  • [2023 AI 메모리 결산] HBM·PIM·CXL 라인업 ‘탄탄’
    SK하이닉스, Global No.1 AI Company로 도약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