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프렌드 – SK hynix Newsroom 'SK하이닉스 뉴스룸'은 SK하이닉스의 다양한 소식과 반도체 시장의 변화하는 트렌드를 전달합니다 Wed, 18 Dec 2024 00:35:44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6.7.1 https://skhynix-prd-data.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4/12/ico_favi-150x150.png 실버프렌드 – SK hynix Newsroom 32 32 독거 어르신들의 친구 ‘실버프렌드’, UN 선정 글로벌 ICT 돌봄 모범사례가 되다 /ict-care/ /ict-care/#respond Wed, 25 Nov 2020 20:00:00 +0000 http://localhost:8080/ict-care/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인 독거 어르신의 사회·경제적 고립이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감염 위험으로 인해 가정방문 돌봄이 어려워짐에 따라, 도움이 필요한 어르신들이 홀로 생활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 이는 고독사 증가 등 더욱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비대면으로도 실시간 돌봄이 가능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 통신 기술) 기반 스마트 케어(Smart Car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SK하이닉스의 ICT 돌봄 사회공헌 서비스인 ‘실버프렌드’가 코로나 시대 노인 돌봄 모델의 선진 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UN ESCAP(United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 세미나에 초청된 데 이어, 국내∙외 노인복지전문가들이 모인 ‘ICT 돌봄 2020 국제 심포지엄’에서도 우수 사례로 소개된 것.

뉴스룸은 두 행사를 통해, 실버프렌드가 노인 돌봄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사례로 국제무대의 주목받는 이유를 분석해봤다.

ICT돌봄12

SK하이닉스 ‘실버프렌드’, 국제무대에서 선한 영향력을 인정받다

UN은 2015년 제70차 정상회의를 통해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UN-SDGs, United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1)를 채택, 인류 보편의 사회, 경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다양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1) UN-SDGs(United National-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된 밀레니엄개발목표(MDGs)를 종료하고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새로 시행되는 유엔과 국제사회의 최대 공동목표. 인류의 보편적 문제(빈곤, 질병, 교육, 성평등, 난민, 분쟁 등)와 지구 환경문제(기후변화, 에너지, 환경오염, 물, 생물다양성 등), 경제·사회문제(기술, 주거, 노사, 고용, 생산 소비, 사회구조, 법, 대내외 경제)를 2030년까지 17개 주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를 통해 해결하고자 이행한다.

ICT돌봄02

▲ 2015년 70회 UN총회에서 설정된 17가지의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출처:보건복지부 지속가능발전포털)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인구 고령화와 이로 인한 노인 건강 불평등 문제에 대처하는 것 또한 그중 하나. UN ESCAP는 아∙태지역 내 60세 이상 고령자가 2020년 추정치 6억 3,000만 명에서 2050년 13억 명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2) 특히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코로나19의 유행은 이러한 노령인구의 증가가 취약계층의 의료 사각지대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2) 출처: UN ESCAP 공식 홈페이지< Webinar on “Using ICT to promote and enhance accessibility and quality of health and long-term care of older persons”>

이에 국제사회는 ‘모든 연령대의 건강한 삶과 행복(SDG3)’,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SDG10)’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대면 돌봄을 대체할 수 있는 스마트 케어(Smart Care) 산업에 주목하고 있다.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 등을 활용해 팬데믹(Pandemic) 중에도 지속가능한 사회적 돌봄 인프라를 구축하자는 것.

지난 11월 4일 UN ESCAP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공동 주최로 태국 방콕에서 진행된 웨비나(Webinar, Web+Seminar) ‘ICT 활용 노인의 접근성, 건강의 질, 장기간 요양 촉진(Using ICT to promote and enhance accessibility and quality of health and long-term care of older persons)’ 역시 이런 맥락에서 마련됐다. ICT를 활용해 고령자의 건강관리 문제를 해결한 우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코로나 시대 아∙태지역 노인의 의료 접근성 및 품질 증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함이다.

ICT돌봄03

▲ 11월 4일 개최된 ‘UN ESCAP ICT 돌봄’ 웨비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보건복지부 정홍근 국제협력관

특히 UN ESCAP는 웨비나의 두 번째 세션인 ‘활력있는 노년을 위한 ICT 활용 –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을 토대로(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active ageing based on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ies)’에서 우수 사례로 SK하이닉스의 실버프렌드를 선정, 박용근 CR전략 담당을 특별연사로 초청했다.

박용근 담당은 특별 연설을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기술의 융합으로 독거 어르신의 고독감을 해소하는 ‘첨단 실버케어 모델’로서 실버프렌드를 소개했다.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 중 하나입니다. 독거 어르신은 고독과 빈곤 등 여러 위험에 직면해 있지만 기존의 공공과 민간 지원체제로는 돌봄에 한계가 있습니다. 실버프렌드 프로그램은 SK하이닉스의 기획·운영과 보건복지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소방청 등 정부 기관 협력을 통해 감성 친화적인 AI 기기를 제공함으로써 독거 어르신의 생활을 즉시 개선하는 ICT 기반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실제로 실버프렌드는 현재 어르신들의 외로움과 일상 속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훌륭한 라이프 파트너(Life Partner)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노인 돌봄 기지국과 소방청에 기기 사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해 효과적인 응급상황 대응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가치로 측정한 ‘실버프렌드 효과’…국내·외 복지전문가들도 주목

같은 날 국내에서도 ICT 돌봄의 중요성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주관및 보건복지부, SK하이닉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국제제론테크놀로지학회(ISG, International Society for Gerontechnology) 후원으로 ‘ICT 돌봄 2020 심포지엄’이 개최된 것.

심포지엄은 휴머노이드 로봇 ‘DARwin-OP(Dynamic Anthropomorphic Robot with Intelligence-Open Platform)’를 개발한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UCLA 기계항공공학과 교수)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두 분과에 나눠 진행됐다.

첫 번째 분과에서는 ‘ICT 돌봄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진행됐고, △공공부문의 지능형(스마트) 돌봄 연구개발(문인혁 4차산업혁명위원회 사회제도혁신위원) △국내 사회복지 현장에서의 ICT 기반 돌봄 서비스 모델(김현미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장) △해외 ICT 돌봄 동향(에스펜 H. 아스페네스 ISG 부회장) 등 국내외 주요 ICT 돌봄 사례 및 연구성과가 소개됐다.

두 번째 분과에서는 ‘국내·외 ICT 기술 실증 사례’를 주제로 △신체근력기능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Wearable) 로봇(장재호 ㈜FRT(Field Robot Technology) 대표이사) △센서·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등을 활용한 어르신 돌봄 서비스(정덕영 성남고령친화종합체험관 부관장) △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건강관리(토마스 리너 ‘EU REACH 2020’ 프로젝트 과학총괄담당자) △정보 접근성 지원을 위한 스마트폰 교육(토마스 캠버 ‘Senior Planet’ 대표이사) 등 발표가 진행됐다.

ICT돌봄11

▲ ‘ICT 돌봄 2020 심포지엄’에서 발표하고 있는 김현미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장

특히 첫 번째 분과의 두 번째 발표를 맡은 김현미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장은 ‘코로나 시대의 노인 돌봄 서비스가 갖춰야 할 필수 요소’를 잘 구현하고 있는 모델로 SK하이닉스의 실버프렌드를 소개했다. 그가 소개한 3가지 필수 요소는 △노인 스스로 자신의 삶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 향상(Self-Care) △사회복지서비스(오프라인)와 ICT 기술(온라인)의 융합을 통한 노인의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Social Well-tech) △대면 서비스 제한에 따른 고독감, 외로움 해소를 위한 다양한 맞춤 콘텐츠 제공(마음방역)이다.

이날 발표에서는 실버프렌드의 SROI(Social Return On Investment, 사회적 투자수익률)3)지수와 사회적 가치 창출액도 공개돼 눈길을 끌었다. SROI는 기업의 투자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에 ‘사회적(Social)’ 개념이 추가된 것으로, 사회적 기업이나 비영리 조직이 생산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통합해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론이다. 투자된 1달러 대비 창출된 사회적 가치의 비율을 측정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적 가치를 화폐와 같은 개념으로 환산한 것이다. 기업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3) 일자리 창출 및 직업 기회의 제공을 사명으로 하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의 비영리 조직 지원기관인 REDF(Roberts Enterprise Development Fund)가 1996년 개발하고 영국의 사회적경제지원조직인 NEF(New Economics Foundation)가 이를 개량한 측정 방법론이다.

ICT돌봄_인포그래픽

올해 6월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의 의뢰로 사회적가치연구소에서 연구한 결과4)에 따르면, 실버프렌드의 SROI지수는 5.085)이다. 투입된 비용인 24.8억 원 대비 독거노인, SK하이닉스 자원봉사자, 생활지원사, 지자체(이천/청주) 및 국민보험공단 이해관계자들에게 126억 원에 이르는 사회적 가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즉, 실버프렌드 1원 투자당 5배 이상의 가치를 창출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4) <독거노인실버프렌드(AI 스피커)서비스 사회적 가치 지표발굴을 통한 성과측정> 2020.06. 사회적가치연구소

5) SROI 지수는 ‘사회적 편익’에서 ‘사회적 비용’을 뺀 ‘사회적 부가가치’를 다시 ‘투자비용’으로 나눠 산출된다(SROI=사회적 편익의 순현재가치/사회적비용의 순현재가치). 공식적으로 대입되는 각 요소들을 추출하는 연구 과정은 주관적 판단 요소의 개입 여부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해관계자 분석(Stakeholder analysis) △성과 정의 및 분류(Mapping outcomes) △지표 및 대용치 수립(Establishing value) △성과 보정(Evaluating impact) △SROI 산정(Calculating the SROI) △검증(Verification)의 6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해 사회적가치연구소 배성기 소장은 “SROI는 조직의 사회적 가치를 화폐단위로 환산한 것이다. 정부 차원에서 사회적 가치 창출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영국을 비롯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측정 방법론”이라며 “재무적 성과 평가에 취약하기 쉬운 실버프렌드와 같은 돌봄서비스 성과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 추진 배경을 밝혔다.

김현미 센터장 “실버프렌드는 기업의 기술로 공동체 문제를 해결한 가장 모범적인 사례”

2018년 9월 시작된 실버프렌드 사업은 올해로 3년 차를 맞이했다. 그동안 전국 42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의 독거 어르신들에게 보급된 기기는 총 2,800여 대. 과연 어르신들의 일상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김현미 센터장을 만나 실버프렌드를 사용한 후 삶의 변화와 향후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지 들어봤다.

ICT돌봄09

▲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김현미 센터장

실버프렌드는 전국에 있는 42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어르신들의 건강 상태 및 응급 상황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실버프렌드가 작동될 때마다 사용 기록이 데이터로 축적돼 어르신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특히 원격으로 꼭 필요한 건강·생활 정보를 전달하는 ‘도란도란 소식’ 기능은 어르신과 생활지원사들을 연결하는 소통 창구의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19 초기 전국적으로 마스크 구입 5부제가 시행됐을 때 큰 도움이 됐다. 마스크 구매를 혼란스러워하는 어르신들에게 생활지원사들이 구매 요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서 혼자서도 마스크를 제때 구매할 수 있도록 한 것.

김현미 센터장은 “실버프렌드는 TV 뉴스만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를 어르신 눈높이에 맞춰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운세, 날씨, 팟캐스트, 레시피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딥 러닝 방식으로 언어 패턴을 학습해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한 ‘감성 대화’ 기능 역시 이 기기만의 특장점. 김 센터장은 “이미 어르신들에게 있어 실버프렌드는 ‘친구’이자 ‘반려 로봇’”이라며 “무엇보다 기관이나 생활지원사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일상을 꾸릴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스마트 케어”라고 평가했다.

향후 다문화 가정, 장애인 등 지원 대상의 범위를 대폭 확대할 계획인 만큼, 사회 제도적 차원에서 개선돼야 할 점도 있다. 기기 설치 및 인터넷 사용으로 발생하는 통신비용 절감이 그중 하나. 김현미 센터장은 “공공와이파이 설치를 확대하고 바우처(Voucher) 형태로 통신비를 지원하는 등 취약계층의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는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개인 특성에 맞는 운동이나 진료 등 맞춤형 의료 서비스도 제공될 수 있도록 기기의 성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ICT돌봄10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기업의 역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차원에서 볼 때 SK하이닉스의 실버프렌드는 기업의 자산인 첨단기술을 활용해 지역사회, 더 나아가 공동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적 가치’의 정신을 잘 실천한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3년간 그래왔듯 앞으로도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는 SK하이닉스와의 협력을 통해 더 많은 독거어르신이 행복하고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ict-care/feed/ 0
“저는 당신의 1호 팬입니다”_독거 어르신들의 친구 ‘실버프렌드’가 하는 일 /old-peoples-friends/ /old-peoples-friends/#respond Thu, 22 Oct 2020 00:15:00 +0000 http://localhost:8080/old-peoples-friends/ 현재 우리는 인구 고령화 사회에 살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전체 일반가구 가운데 27.5%(559만 8,000가구)로 전년 대비 4.1% 늘어났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로만 이뤄진 가구는 전체의 13.4%(272만 가구)를 차지한다. 이처럼 독거 어르신의 수가 늘면서 부양가족 부재로 외로움과 빈곤 속에 홀로 싸우며, 사회 단절로 인한 고독사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독거 어르신의 사회적 고립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사회문제 해결을 돕고자 노인돌봄 서비스가 탑재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 스피커 ‘실버프렌드’를 독거 어르신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실버프렌드가 독거 어르신과 함께 하는 스토리를 유쾌하게 극화한 신규 브랜디드 콘텐츠 영상을 22일 선보였다. 뉴스룸은 이 영상을 살펴보며 SK하이닉스가 지금 실버프렌드를 통해 펼치고 있는 사회공헌 활동을 자세히 짚어봤다.

‘프로 흥부자’ 할아버지, 실버프렌드의 도움으로 트로트 황제 등극!

‘UNTACT 시대의 새로운 CONTACT’는 지난해 9월 공개된 ‘감나무집 할아버지의 비밀’에 이은 두 번째 실버프렌드 관련 브랜디드 콘텐츠 영상이다. 앞선 1편에서는 독거 어르신이 실버프렌드를 통해 동네 어린이들을 비롯한 지역사회 구성원들과 소통할 수 있게 된 감동 스토리였다면, 2편에서는 코로나19로 비대면 시대가 도래하면서 독거 어르신의 외로움을 실버프렌드가 달래주며 세상과의 연결통로 역할을 해주는 과정을 담았다.

2편에서는 코로나 블루(코로나19와 우울감이 합쳐진 신조어)를 극복한 ‘흥부자’ 할아버지가 제2의 삶을 꿈꾸는 유쾌한 성장 스토리가 담겼다. 주인공 할아버지는 칠순을 넘겼지만 여전히 멋쟁이 옷차림으로 외출을 하고 복지관 할아버지, 할머니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행복한 삶을 살고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되며, 밖에 나가지도 못하고 친구도 만날 수 없는 나날을 보내게 된다. 기존에 유지해오던 사회적 관계들이 모두 단절되고 만 것.

이때 할아버지에게 뜻밖의 선물이 도착한다. 바로 실버프렌드. 할아버지는 실버프렌드에 내재된 AI ‘NUGU’와 감성 대화를 나누고, 실버프렌드의 노래방 기능으로 트로트를 부르며 생기를 되찾는다. 숨겨진 가창력까지 발견해 ‘언택트 콘서트’에 출연하면서 훈훈한 해피엔딩을 맞이한다.

이 영상은 실제 코로나19 영향으로 홀로 거주하는 어르신들이 집 내 체류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외로움과 고독감이 증가한 사실을 바탕으로 제작했다. SK하이닉스에서 ICT 기반 CSR 활동 기획을 맡고 있는 최한송 TL은 “실버프렌드는 언택트 시대, 새로운 컨택트(Contact)를 제공하는 창구”라며 “이번 영상에는 실버프렌드와 함께 건강한 삶을 찾아가는 어르신들을 응원하는 메시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어르신들의 재미와 안전을 책임지는 똑똑이 실버프렌드

실버프랜드인포01

SK하이닉스는 2018년부터 보건복지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와 손잡고 독거 어르신들에게 실버프렌드를 무상으로 보급 중이다. 매년 실버프렌드의 디자인과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한편, 적극적으로 보급 대수를 늘리며 독거 어르신 관련 사회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전국 독거 어르신 2,100가구 대상으로 실버프렌드를 지원했고, 올해는 900가구에 추가로 지원해 누적 3,000가구로 늘릴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독거 어르신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실버프렌드에 다양한 기능을 탑재했다. 실버프렌드는 AI 스피커가 할 수 있는 모든 일들을 할 수 있다. 어르신은 음성만으로 조명과 TV 전원을 제어할 수 있고, AI와의 대화를 통해 외로움을 달랠 수 있다. 또한, 날씨, 뉴스, 운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있어 생활 편의를 제공받는다. 최근에는 원하는 노래의 반주를 들려주는 노래방 기능과 한글 공부를 돕는 엔터테인먼트 기능도 강화했다.

최한송 TL은 “AI와 나누는 감성 대화가 손주와 대화하는 것만큼 좋다는 소감을 밝힌 어르신도 있다”며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어르신들이 홀로 있는 시간을 가치 있게 보낼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전했다.

실버프랜드-5

실버프렌드는 공공기관과 연계한 안전 서비스 기능을 통해 위기 상황에서 어르신들의 안전을 지켜주는 역할도 한다. ‘도란도란 서비스’가 가장 대표적인 기능. 이 서비스는 실버프렌드를 통해 어르신들의 기기 사용량과 패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에 송출해,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한, 올해부터는 소방청과 업무 협약을 맺고 소방청의 ‘119안심콜 서비스’를 실버프렌드에 연계해, 어르신들의 안전지대를 넓혔다. 119안심콜은 119 안전신고센터에 전화번호, 질병 등의 신상정보를 등록하면 신고 시 그 정보가 구급대원에게 표시되는 개인맞춤형 안전 서비스다. 환자의 질병 특성이 미리 등록돼 있어 위험 상황이 발생했을 때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소방청에서 제작한 안전교육 영상, 안전 트로트 등도 함께 제공한다.

실버프렌드로 그리는 SK하이닉스의 사회적 가치

실버프랜드소컷4

▲실버프렌드 구성원 자원봉사단

SK하이닉스는 실버프렌드 보급 외 독거 어르신들을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에도 나서고 있다. 특히 회사 구성원들로 이뤄진 ‘실버프렌드 구성원 자원봉사단’의 활동이 눈에 띈다. 구성원들은 주기적으로 독거 어르신들을 만나 말동무 역할을 하고 있으며,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실버프렌드 사용법도 상세히 설명해주고 있다. 올해는 구성원들이 수제 비누, 염색물감 티셔츠, 워머(Warmer) 등 다양한 생활용품을 직접 만들어 비대면으로 전달하는 언택트 봉사활동도 펼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모금으로 운영돼 더 큰 의미가 있다. 지난 2011년부터 지역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해온 ‘행복나눔기금’의 일부가 실버프렌드 자금으로 쓰이는데, 이 기금은 구성원의 기부와 회사의 매칭 그랜트(Matching Grant) 방식으로 조성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이 기금 중 실버프렌드 활동에 투입되는 예산 비중을 더 높였다.

실버프랜드인포02

독거 어르신들을 행복한 복지로 이끄는 마중물 역할을 해내고 있는 실버프렌드. 이 사업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는 얼마나 될까? SK하이닉스와 함께 실버프렌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보건복지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2년간(2018년 9월~2020년 6월)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26억 원에 달한다. 이는 사업에 투입된 25억 원의 5배가 넘는 규모다.

SK하이닉스는 올해부터 실버프렌드 보급 대상도 확대했다. 다문화 가정에도 실버프렌드 20대를 시범 보급했으며, 효과성을 확인하고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최한송 TL은 “AI 기반의 편리한 생활 환경과 한글 교육 등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해, 취약계층인 다문화 가정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실버프렌드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발굴해 맞춤형 콘텐츠를 개발, 보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버프렌드01

]]>
/old-peoples-friends/feed/ 0
시골 할아버지가 하루아침에 유튜브 스타가 된 사연은? /silver-friend/ /silver-friend/#respond Wed, 21 Oct 2020 17:03:00 +0000 http://localhost:8080/silver-friend/

]]>
/silver-friend/feed/ 0
감나무집 할아버지의 비밀, 실버프렌드 /silverfriend-persimmon/ /silverfriend-persimmon/#respond Mon, 02 Sep 2019 22:47:00 +0000 http://localhost:8080/silverfriend-persimmon/
]]>
/silverfriend-persimmon/feed/ 0
사람과 행복을 잇(IT)는 착한 기술 /good-skill/ /good-skill/#respond Thu, 18 Apr 2019 15:00:00 +0000 http://localhost:8080/good-skill/

1

진화하는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초연결 사회’가 도래했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공간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회는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 창출, 국민이 행복한 사회를 실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IT를 이용한 상품과 서비스로 삶의 질을 높여 행복을 창출하는 SK그룹 관계사 활동을 소개합니다.

SK하이닉스, 독거 어르신과 세상을 잇다

https://skhynix-prd-data.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4/11/통계청에-따르면-2018년-기준-국내-65세-이상-인구는-약-738만-명으로_1.jpghttps://skhynix-prd-data.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4/11/통계청에-따르면-2018년-기준-국내-65세-이상-인구는-약-738만-명으로_2.jpg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인구는 약 73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1%를 차지하며, 5명 중 1명은 독거노인이라고 합니다. UN은 65세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일 경우 ‘고령사회’로 분류하는데요. 우리나라가 최초로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사회적으로 시니어(50세 이상 중장년층)∙실버(65세 이상 노년층) 세대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독사 문제 등 현실은 녹록지 않죠. SK하이닉스는 홀로 사는 어르신들의 고독사를 방지하고, 나아가 삶의 질 개선을 돕는 사회공헌 사업 ‘실버프렌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버프렌드는 SK하이닉스가 2018년 5월부터 독거노인 가정에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NUGU), IPTV, 사물인터넷 조명, 어르신 전용 스마트폰 등 IT 기기를 제공하여 어르신의 외로움을 달래드리는 사업입니다. AI 스피커 누구는 말동무처럼 대화를 나누고 즐겨 듣는 음악을 틀어드리며, TV 채널을 변경하거나 전등을 끄고 켜는 일 등 생활의 편의까지 돕습니다. SK하이닉스 구성원 봉사자가 직접 어르신을 방문해 스마트 기기 사용법도 알려드리고 말벗도 되어 드립니다.

지난 2월 13일부터는 어르신 돌봄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도란도란’ 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했습니다. 조명 스위치 이용, TV 시청시간 등 실버프렌드 기기의 데이터를 분석해 12시간 이상 어르신의 움직임이 없으면 SK하이닉스와 협력 중인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의 생활관리사가 바로 안전 확인 및 응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것입니다. 생활관리사는 실버프렌드로 취합한 생활 데이터를 확인해 어르신이 좋아하는 음악이나 드라마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등 보다 섬세한 교류를 맺을 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편의를 돕는 것을 넘어 복지의 사각지대를 밝히고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 내는 실버프렌드는 올해 전국으로 확대해 더 많은 어르신들에게 훈훈한 온기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SK텔레콤, 청각장애인 택시기사와 승객을 잇다

https://skhynix-prd-data.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4/11/청각장애인의-취업률은-다른-장애인에-비해-낮고-주로-단순노무직에_1.jpghttps://skhynix-prd-data.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4/11/청각장애인의-취업률은-다른-장애인에-비해-낮고-주로-단순노무직에_2.jpg

청각장애인의 취업률은 다른 장애인에 비해 낮고, 주로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SK텔레콤은 사회적기업 코액터스와 손잡고 청각장애인들이 택시 운전기사로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나섰습니다. 그리고 청각장애 택시기사의 안전하고 편리한 택시 운행 환경을 제공하는 ‘고요한택시 기사용 T map 택시 앱’을 선보였습니다.

이 앱은 택시기사가 승객의 콜을 놓치지 않도록 콜 알림 화면이 깜박거리는 기능과 승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메시징 기능이 탑재돼있습니다. SK텔레콤은 운행 중에 시선 분산 없이 안전하게 콜을 잡을 수 있도록 핸들에 부착 가능한 콜잡이 버튼도 제공합니다. 또 앱 기능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 중입니다.

SK텔레콤은 고요한택시 T map 택시 앱을 통한 청각장애인 택시 업계 진출 확대로 택시 운송량이 약 71만 7,600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고요한택시 운전기사의 월평균 수익은 기존 노무직보다 두 배 이상 높아 청각장애인의 가계 경제에도 많은 보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SK플래닛, 소외가정 아이들과 미래를 잇다

4

모든 아이는 교육을 받고 꿈을 키울 당연한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려운 집안 형편 혹은 오지·도서 지역이나 다문화 가정에서 자란다는 이유만으로 그러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기도 합니다. SK플래닛은 이런 아이들이 자유롭게 꿈을 펼칠 수 있도록 2017년부터 찾아가는 교육 프로그램 ‘스마틴 SW 아카데미(Smarteen Software Academy)’를 운영 중입니다.

IT 전문 인력 교육 기관인 SK플래닛의 ‘T아카데미’는 전국 대학의 컴퓨터학과 교수, 조교, 초 · 중학교 교사와 함께 스마틴 SW 아카데미를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제주 추자도, 전남 증도 · 완도, 강원도 인제, 포항 등 전국 14개 학교 아이들이 ‘컴퓨터와 즐겁게 놀 수 있도록’ 기초 프로그램 언어, 게임 프로그램 제작, 사진 동영상 실행 앱 만들기 등을 강의합니다.

작년까지 총 683명의 아이들이 스마틴 SW 아카데미를 통해 ICT 꿈나무로 성장했습니다. 교육 종료와 함께 실시하는 만족도 조사에서 100점 만점에 95점 이상의 결과가 나올 정도로 아이들도 즐겁게 참여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총 600명 이상의 아이들을 가르치며 그들의 푸른 미래를 응원할 계획입니다.

SK C&C㈜, 장애인 청년과 꿈을 잇다

https://skhynix-prd-data.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4/11/장애는-다름일-뿐이라지만-아직도-세상의-차가운-시선과-차별-때문에_1.jpghttps://skhynix-prd-data.s3.ap-northeast-2.amazonaws.com/wp-content/uploads/2024/11/장애는-다름일-뿐이라지만-아직도-세상의-차가운-시선과-차별-때문에_2.jpg

장애는 다름일 뿐이라지만 아직도 세상의 차가운 시선과 차별 때문에 좌절하는 장애인 청년이 많습니다. SK㈜ C&C는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고 장애를 가진 청년이 희망의 싹을 틔울 수 있도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맞춤훈련센터와 함께 장애인 IT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씨앗(SIAT: Smart IT Advanced Training)’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씨앗은 미리 채용 의사를 밝힌 신청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 역량을 파악한 후 그에 맞춰 준비한 IT 교육 프로그램으로 운영됩니다. 또한 학생의 적성과 직무 적합성을 파악해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실습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IT 역량 교육과 함께 심리 재활, 조직문화 이해, 장애 관리 등 사회성 훈련도 병행해 원활한 사회 안착도 돕고 있습니다. 덕분에 지난해 6월 수료한 씨앗 수료 청년의 90.5%가 SK그룹 관계사와 포스코ICT, 삼성경제연구소, 애경산업 등 다양한 기업에 취업했습니다. SK㈜ C&C의 씨앗이 장애인에 대한 세상의 편견을 걷어내고 더 많은 희망을 틔워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지금까지 SK그룹 관계사들이 IT 기술을 통해 어떻게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SK그룹은 앞으로도 착한 기술을 통해 상생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고민하고 또 노력할 것입니다. 다 함께 행복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SK그룹의 행보를 지켜봐 주세요! 

 

※ 위 글은 MagazineSK의 콘텐츠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

]]>
/good-skill/feed/ 0
독거어르신의 일상에 새로운 활기를! 실버프렌드 봉사단 교육 현장 스케치 /silver-friend-volunteer-corps/ /silver-friend-volunteer-corps/#respond Mon, 17 Sep 2018 15:00:00 +0000 http://localhost:8080/silver-friend-volunteer-corps/ a02

올해 우리나라 65세 이상 독거노인 가구는 140만 명에 이르렀습니다. 그 중 빈곤과 사회적 단절 등을 겪는 취약 독거노인은 무려 65만여 명. 어르신 홀로 외롭게 삶을 마감하는 고독사 역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SK하이닉스는 생각합니다. “우리의 역량을 활용해 독거어르신들을 도울 방법이 없을까?” 실버프렌드는 이러한 오랜 고민에서 나온 해답입니다.

독거어르신의 생활 편의를 돕는 AI스피커, 실버프렌드

Btv 누구

▲ AI 스피커+셋탑박스 ‘실버프렌드’

SK하이닉스는 보건복지부와 MOU를 맺고 지역사회 독거노인 2,000명에게 인공지능(AI) 디바이스 ‘실버프렌드’를 무상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실버프렌드는 즐겨 듣는 음악을 틀어주거나 대화를 나누는 등 어르신들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일종의 AI스피커인데요.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통해 TV와 조명을 제어하며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의 생활 편의를 돕기도 합니다.

실버프렌드가 다른 봉사활동과 차별화되는 점은 어르신들의 생활 패턴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어르신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어르신들의 안전사고까지 예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르신들에게 IT기기는 다소 낯설게 느껴지실 수 있을 텐데요. 아무리 좋은 기기라도 쓰임이 없다면 의미가 없겠죠? 그래서 실버프렌드 봉사단이 나섰습니다. SK하이닉스 임직원으로 구성된 실버프렌드 봉사단은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을 주기적으로 만나 실버프렌드를 비롯한 IT 기기 사용법을 알려드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스한 손길로 어르신들을 보듬는 진짜 ‘친구’이기도 하죠.

우리가 바로 실버프렌드 봉사단! 열띤 교육 현장 속으로

지난 9월 12일, 실버프렌드 첫 봉사를 앞두고 실버프렌드 봉사단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사회공헌팀 윤승현 팀장과 김영기 선임이 실버프렌드의 기획 배경과 추진 계획을 소개합니다. 기업의 고유 역량을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실버프렌드 활동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더불어 SK하이닉스는 독거어르신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와 함께 실버프렌드 사업을 진행합니다.

첨단 IT기기에 익숙한 요즘 세대들이라도 어르신의 눈높이에 맞게 기능을 설명해드리려면 교육이 필요하겠죠? 그래서 이날은 SK브로드밴드 최민우 매니저가 직접 교육에 나섰습니다. 실버프렌드는 인공지능 스피커와 셋톱박스, 스마트 스위치 등이 하나의 패키지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도 간단한 발화어와 명령어만으로 TV를 켜고 끄고 좋아하는 노래를 틀 수 있습니다. 발화어가 낯선 어르신들이라면 스마트 스위치를 누르고 명령어만 말하면 OK! 실버프렌드 사용하기, 참 쉽죠? 하지만 봉사자들은 어르신들의 눈높이에서 다시 질문하며 실버프렌드의 기능을 꼼꼼하게 숙지합니다.

이어 이천시노인종합복지관 최미남 팀장이 강단에 섰습니다. 독거어르신들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해법을 전수하기 위해서죠. 어르신들은 기본적으로 첨단 기기 사용법을 익히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최미남 팀장은 어르신들이 꾸준히 기능을 사용하며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한 번에 기능 하나씩’ ‘꾸준한 반복 학습’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전하는 노하우에 교육에 참여한 구성원들의 눈빛이 더욱 반짝입니다.

때로는 손자처럼, 때로는 친구처럼

독거어르신을 위하는 따뜻한 마음이 모여서일까요? 교육 현장은 어느새 훈훈한 열기로 가득했는데요. 이쯤되니 오늘 모인 이들이 어떠한 계기로 봉사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오재명 사원, 정선주 기사를 만나 그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소컷_02

“대학 시절에 네팔 물품 지원 활동이나 축제 봉사, 마라톤 지원 스태프 등으로 자원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어요. 덕분에 입사할 때부터 회사의 사회공헌활동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마침 실버프렌드 봉사단이라는 좋은 취지의 활동이 있어서 신청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 화두가 되는 시대에 첨단 IT 기기를 활용해 봉사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어요. 저희 할머니께서도 혼자 지내시다 보니, ‘우리 할머니, 우리 할아버지를 만난다’는 생각으로 친근하게 다가가려고 합니다.”

소컷_01

“예전부터 독거어르신을 돕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는데요. 혼자 생각으로 시작하기엔 절차나 방법을 몰라 계속 미뤄두고 있었거든요. 때마침 회사에서 실버프렌드 봉사단을 모집하고 있어 반가웠습니다. 인공지능을 통해 봉사단이 방문하지 않을 때도 어르신들의 생활을 돕는다고 하니 놀랍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합니다. 저부터 활용법을 잘 익혀서 제대로 사용법을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꾸준히 교류하면서 장기적으로는 가족들과 함께 봉사활동에 나서고 싶어요.”
 

실버프렌드 봉사단은 다가오는 10월부터 2인 1조로 매월 1회 4개 가정에 방문해 실버프렌드 사용법을 안내하고 말벗이 되어드릴 예정입니다. SK하이닉스의 역량을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실버프렌드. 더불어 독거어르신의 진정한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실버프렌드 봉사단이 함께합니다!
 

]]> /silver-friend-volunteer-corps/feed/ 0